[약선] 식물의 특성│귀경(歸經)
동양의학의 경락학설 발명으로 식물의 귀경이론이 성립되었다. 경락은 인체의 내외표리를 연결하며 병리상태에서는 체표의 질병이 내장에 영향을 미치고 내장의 질병이 체표로 표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인체의 각 부분에 병이 발생하면 그 증상은 밖으로 표출되어 진단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폐의 병은 천식이나 기침으로 표현되고 간의 질병은 옆구리통증과 경련으로 나타나며 심장의 병은 신계나 정신혼미로 나타난다.
귀경은 장부, 경락이론을 기초로 하여 형성된 이론으로 식물과 약물은 내재적인 규율에 의해 인체의 장부경락을 통해 선택적으로 작용한다고 인식하였으며 식물과 약의 맛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보허식품과 청열식품을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보익강장의 식품은 많지만 귀경이 다르고 그 효능 역시 다르다. 폐가 허약한 노인들이나 만성 폐질환환자들에게는 백합, 산약, 제비집, 은이, 은행, 돼지폐, 심하면 동충하초, 합개 등 양폐, 보폐, 윤폐작용이 있으며 귀경이 폐로 들어가는 식품을 사용한다.
그러나 같은 보하는 식품이라도 용안육, 대추, 밤, 감실, 연자 등은 효과가 없는데 이것은 귀경이 폐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한방에서 신장이 허약하여 허리가 아픈 사람에게 밤, 호두, 깨, 산약, 상심자, 돼지신장, 구기자, 두충 등을 사용하지만 백합, 용약육, 대추, 은이, 인삼 등의 보하는 식품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이것도 모두 귀경이 다른 것이 그 이유가 되겠다.
그 밖에 보하는 식품 중에 돼지심장, 용안육, 소맥, 백자인 등은 심장으로 들어가며 심장을 보하는 식품으로 정신을 안정시키는 작용이 있어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이나 불면증을 치료한다. 산약, 편두, 찹쌀, 쌀, 대추 등은 비위경락으로 들어가며 비장과 위장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비장이 허약해 변이 묽게 나오는 사람에게 사용한다.
상심자, 구기가, 여지, 검정깨, 돼지간, 양간 등은 간경으로 들어가며 간장과 혈액을 보하는 작용이 있어 간에 혈이 부족해 나타나는 어지럼증과 눈이 침침한 증상에 사용한다.
청열식품을 예로 들면 열과 화를 내리는 작용이 있는 찬성질의 식품을 말한다. 같은 성질의 식품이라도 귀경이 다르면 효능도 달라지는데 폐경락으로 들어가는 식품은 폐열을 내리는 작용을 하며 심경락으로 들어가는 식품은 심화를 내리는 작용이 있고 간경락으로 들어가면 간열을 내려준다. 따라서 같은 한량성 식품으로 배, 바나나, 감, 상심자, 셀러리, 미나리, 연자심, 미후도 등은 같은 청열작용이 있으나 그 위치는 서로 다르다.
배와 감은 폐경으로 들어가 폐열을 내리며 바나나는 대장경락으로 들어가 대장열을 식히고 상심자는 간경락으로 들어가 허열을 내리며 셀러리와 미나리는 간화를 내리고 연자심은 심화를 내리며 미후도는 신허로 인한 방광경락을 내린다.
이것은 고대부터 생활과 임상의 경험을 토대로 전해 내려온 것이며 식물의 귀경과 식물의 오미 관계는 매우 밀접하다.
오미와 귀경을 예로 들자면 신맛의 발산성 식물은 폐려 들어가 표증과 폐의 기운이 잘 퍼져 나가도록 하여 기침과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식물로는 파, 생강, 향채 등이 있다. 쓴맛의 청열, 하강성 식물은 빈혈과 허약증을 치료하며 식물로 대추, 꿀, 산약 등이 있다.
신맛의 수렴성 식물은 간으로 들어가 간담질환을 치료하며 식물로는 오매, 산사 등이 있고 마지막으로 짠맛은 신장으로 들어가 간이나 신장의 음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질환과 소모성질환(당뇨, 갑상선항진증)을 치료하며 해초류가 여기에 속한다.
각 장으로 들어가는 식물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심장
겨자채, 고추, 연근, 녹두, 팥, 보리, 술, 하엽, 감, 백합, 도인, 수박, 용안육, 산조인, 연자, 돼지껍질, 해삼 등
(2) 간
토마토, 수세미, 유채, 비자, 부추, 술, 식추, 도인, 향채, 산사, 행인, 행두, 오매, 오디, 여지, 검정깨, 망고, 무화과, 배, 산조인, 해파리, 장어, 청어, 새우, 조개, 게, 조개, 민들레, 아카시아꽃, 국화꽃, 불수, 하엽, 구기자, 여정자, 미나리 등
(3) 비장
생강, 향채, 간장, 연근, 가지, 토마토, 두부, 유채, 호박, 콩, 당근, 무, 동과피, 육계, 고추, 메밀, 고구마, 마늘, 수수, 쌀, 조, 보리, 검정콩, 대추, 무화과, 땅콩, 오매, 귤, 망고, 연자, 포도, 용안육,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양고기, 해초, 조개, 붕어, 잉어, 미꾸라지 등
(4) 폐
생강, 파, 향채, 무, 동과, 양파, 겨자, 유채, 연근, 마늘, 당근, 셀러리, 동과, 버섯, 해초, 술, 차잎, 율무, 꿀, 감, 행인, 백합, 배, 은행, 오매, 귤, 포토, 호두, 오리고기, 연어, 도라지, 더덕 등
(5) 신장
마늘, 향춘, 비자, 후추, 회향, 부추, 간장, 보리, 해파리, 해초, 해삼, 장어, 붕어, 해마, 오리고기, 양고기, 조개, 메추리알, 검정콩, 앵두, 검정깨, 밤, 구기자, 호두, 육계, 연자, 감실, 고구마, 율무 등
(6) 위
생강, 연근, 가지, 수세미, 시금치, 완두, 찹쌀, 감자, 토마토, 산사, 올방개, 앵두, 사과, 레몬, 목이버섯, 메밀, 식초, 두부, 무, 오이, 고추, 고구마, 수수, 조, 보리, 대추, 시금치, 오매, 망고, 선지,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우렁이, 청어 등
(7) 방광
고사리, 옥수수, 소회향, 동과, 우렁이, 수박, 육계 등
(8) 대장경
감자, 시금치, 비름나물, 배추, 동과, 고과, 가지, 두부, 고사리, 죽순, 호박, 표고, 비자, 메밀, 무화과, 감, 도인, 바나나, 꿀, 붕어, 옥수수, 목이버섯, 후추, 석류, 복숭아 등
(9) 소장
소금, 팥, 비름나물, 동과, 오이, 양젖 등
'약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선] 계절약선│봄에 알맞은 음식 (0) | 2015.04.07 |
---|---|
[약선] 계절약선│봄의 식료약선 (0) | 2015.04.07 |
[약선] 계절약선│봄의 인체특징 (0) | 2015.04.07 |
[약선] 계절약선│봄의 기후특징 (0) | 2015.04.07 |
[약선] 식물의 특성│오색(五色) (0) | 2015.04.07 |
[약선] 식물의 특성│맛 오미(五味) (0) | 2015.04.07 |
[약선] 식물의 특성│성질 4기(四气) (0) | 2015.04.07 |
[약선] 식물의 특성│식물의 성능개념 (0) | 2015.04.06 |
[약선] 약선의 개념과 이해│약선학의 전망 (0) | 2015.04.06 |
[약선] 약선의 개념과 이해│약선의 유래 (0) | 2015.04.06 |